대초원의 여왕들
글 : 크리스틴 델라모어 사진 : 젠 가이턴
점박이하이에나 세계에서는 암컷이 지배한다. 그것이 녀석들이 번성하는 비결인지도 모른다.
기사 본문에서 발췌한 내용을 일부 공개합니다.
새끼 점박이하이에나들이 젖은 풀 위에서 서로 뒹굴며 노는 동안 케냐 마사이마라 국립보호구의 대초원으로 뇌운이 몰려오고 있었다. 어미는 새끼들 근처에 누워 있다가 한 살쯤 된 큰 하이에나 한 마리가 새끼들 틈에 끼이려 할 때마다 가끔씩 일어나 그 상황을 제지하곤 했다. 녀석이 다시 다가오자 용감한 새끼 한 마리가 서열 높은 어미의 모습을 흉내 내며 몸을 꼿꼿이 세우고는 위협적인 자세를 취했다. 그 행동이 우스꽝스러워 보였지만 두 녀석 모두 자신의 서열을 알고 있었다. 서열이 낮은 큰 하이에나는 갑자기 멈춰 서더니 고개를 숙이고 슬그머니 물러났다.
마라 하이에나 프로젝트의 설립자 케이 홀캠프가 35년간 진행한 현장 연구가 아니었다면 하이에나 행동에 대한 이런 깊은 이해는 애초부터 불가능했을 것이다. 홀캠프의 노력은 진보된 사회 구조와 인지 능력,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력으로 잘 알려진 하이에나의 진가를 드러내는 데 이바지했다.
“마사이마라 국립보호구에 2년간 있을 생각이었는데 하이에나에 푹 빠져버린 거죠.” 그녀는 말한다.
하이에나에 푹 빠진다? 하이에나라는 이름을 들으면 대부분의 사람은 얼굴을 찡그린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하이에나를 “썩은 고기를 몹시 좋아하 는 동물”이라고 묘사했다. 아프리카 전역에서 하이에나는 사악하고 탐욕스러운 존재로 비치고 주술이나 성적 일탈과도 결부돼 있었다. 1994년에 개봉한 영화 에서도 하이에나는 교활하고 사악한 존재로 묘사됐다.

“인간과 자주 접하는 생물, 즉 잡식성에 적응력이 뛰어난 생물이 가장 불쾌감을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 소속의 육식 동물 생태학자이자 본 협회의 탐험가 크리스틴 윌킨슨은 말한다. 윌킨슨은 케냐 나쿠루 호수 국립공원에서 하이에나를 연구하고 있다.
윌킨슨과 홀캠프를 비롯한 연구원들이 점박이하이에나의 생태와 행동에 대해 더 많은 사실을 밝혀내면서 누가 어떤 방식으로 동물의 왕국을 지배하고 있는지에 대한 우리의 지식이 계속해서 뒤집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