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획적 방화
글 : 시오반 싱글턴 사진 : 킬리 위얀
시오반 싱글턴은 과거 원주민 여성들이 그랬던 것처럼 계획적 방화를 관리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소규모의 약한 불을 놓으면 나무의 수관층을 태우지 않으면서도 땅의 모양을 잡을 수 있다.
‘비리 비리’, 즉 불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억은 여섯 살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빗속에서 희미하게 풍기는 연기 냄새를 기억한다. 당시 나는 골함석과 나무로 지어진 개방형 집에서 낡은 침상에 앉아 보모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듣고 있었다. 보모가 집과 동일한 철재와 목재로 만들어진 야외용 화로에서 요리하는 모습도 지켜봤다. 오늘날에도 여전히 타닥타닥 나무 타는 소리가 들린다.우리는 퀸즐랜드 열대 습윤 지역에 살고 있는 원주민이다. 이곳은 호주 북동부의 광활한 해안에 위치한 세계문화유산 지역이다. 이 지역에서 우리는 정신과 토양, 초목을 온전하게 유지하기 위해 계획적 방화 관행을 따르고 있다. 이 관행은 산지식이자 원주민이 이 땅과 맺고 있는 관계를 나타낸다. 불은 우리의 고향 땅인 ‘불름바’와 바다 영토인 ‘굴불’ 모두를 위한 만병통치약이다. 우리가 걸으며 불을 놓으면 영혼이 정화된다. 우리는 식물의 구조와 관련한 다양한 요소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나뭇잎의 층부터 잔디의 분포, 뿌리 체계, 토양의 종류 및 땅의 특성에 이르기까지 말이다. 우리는 불을 놓을 최적의 시기를 알아내기 위해 땅을 파악하고 토양부터 하늘까지 여러 지표를 정렬한다.

그러나 우리 여자들은 항상 불을 다뤄왔고 불과 관계를 맺어왔다. 불은 여러 세대에 걸쳐 우리 일상생활의 일부였다. 나는 아주머니들과 함께 해변에 있는 조상의 땅에 앉아 불 위에 놓인 음식이 익기를 기다렸던 일을 기억한다. 하루 동안 식량을 채집한 후 우리는 불 곁에 앉아 몸을 녹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