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셔널지오그래픽 매거진

인스타그램 보기 내셔널지오그래픽 매거진 키즈

매거진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어둠을 빛으로 바꾸다

글 : 낸시 샌 마틴 사진 : 야엘 마르티네스

한 사진작가가 특수한 기법을 활용해 멕시코의 ‘토종 지역사회’를 담은 빛나는 사진들을 만들어낸다.

기사 본문에서 발췌한 내용을 일부 공개합니다.

야엘 마르티네스가 호세피나 프루덴테 카스타녜다에게 사진기를 응시해달라고 요청했을 때 호세피나는 그녀가 녹음실로 사용하는 미국 브루클린의 교회에 있었다. 멕시코 게레로주에서 북쪽으로 이주해온 그녀는 현재 미스텍 부족의 언어 중 하나인 툰사비어로 진행하는 방송을 미국 뉴욕주 안팎에 송출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여성의 권리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룬다. 또한 그녀는 법원에서 툰사비어와 스페인어, 영어 번역사로 일하고 있다. 마르티네스는 그녀를 처음 만났을 때 그녀가 힘과 빛, 어둠을 모두 지니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이는 그가 작품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바와 정확히 일치했다.

마르티네스는 몇 년 전부터 ‘개입’이라는 작업을 시작했다. 직접 촬영한 사진을 인화한 다음 다른 예술적 세부 요소를 적용해 편집하는 작업이었다. 그는 본지와 예술가 집단 ‘포 프리덤스’의 공동 작업의 일환인 이 포토 에세이를 위해 고향 게레로주의 원주민, 즉 ‘토종 지역사회’에 주목했다. 그는 이 표현을 선호한다. 왜 토종일까? ‘토종 지역사회’라는 표현이 고유한 공동체의 위엄을 잘 전달하기 때문이다. 마르티네스에 따르면 그는 이 표현을 원주민 활동가들로부터 배웠다.
 
손주를 둔 할머니인 펠리파 가르시아 레예스는 게레로주 우에우에테펙 마을에서 옥수수와 콩을 심는다. 이곳의 원주민 가족들은 옥수수와 콩, 호박 같은 농작물을 주식으로 삼으며 노소를 불문하고 모두가 농사일을 돕는다.
그가 이 프로젝트를 위해 촬영한 사람들은 모두 법적으로 멕시코 시민권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선조로부터 전해 내려온 고대 전통이 언어와 음식, 신앙, 설화를 통해 수백 년째 계승되고 있으며 세계를 규정하는 경계선에 대한 집단의식도 지금까지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새로운 환경으로 이주한 이들에게도 해당된다. 마르티네스는 카스타녜다 같은 토종을 만났을 때 자신의 정체성, 즉 토착민 혈통과 유럽 혈통, 아프리카 혈통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게 됐다고 말한다. 때때로 그는 게레로주가 중남아메리카의 복잡한 역사를 상징한다고 생각한다.
 

포토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