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을 꿈꾸다
글 : 예브게니아 아르부가에바 사진 : 예브게니아 아르부가에바
러시아 북단의 기나긴 극야 기간 동안 삶의 방식과 이곳에 얽힌 전설은 영원히 변하지 않는 듯하다.
사람들은 당신이 북극의 매력에 한번 빠지면 언제나 그곳으로 돌아가고 싶을 것이라고 말한다. 나는 어린 시절 툰드라를 뛰어다녔고 해가 뜨지 않는 극야에는 북극광을 보며 학교로 걸어갔다. 극야란 두 달 동안 해가 뜨지 않는 겨울철 극지의 밤뿐 아니라 이때 느끼는 기분을 가리키는 시적 표현이다. 나는 오래전 내 고향인 러시아 랍테프해 연안에 있는 외딴 항구 도시 틱시를 떠나 여러 대도시와 외국에서 살았다. 하지만 북극은 계속해서 나를 불러왔다. 나는 북극에서 느껴지는 고립감과 느린 일상이 사무치게 그립다. 북극의 얼어붙은 풍경 속에서 내 상상력은 거침없이 뻗어나간다. 나는 이곳에 있을 때만 진짜 내 모습으로 돌아간다.내가 찍는 사진도 마찬가지다. 때때로 나는 내 사진에 담겨 있는 이야기들이 각양각색의 꿈을 보여주지만 이 땅에 대한 사랑으로 연결돼 있어 마치 여러 장으로 이뤄진 한 권의 책과 같다고 생각한다. 꿈들은 저마다 다른 색깔과 분위기를 지니고 있다. 이곳에 사는 사람은 저마다 사연을 갖고 있다.
처음으로 들려줄 이야기는 뱌체슬라프 코롯키의 꿈에 관한 것이다. 그는 오랫동안 바렌츠해의 외딴 반도에 있는 호도바리하 기상관측소의 소장으로 근무했다. 코롯키에 따르면 그곳은 마치 배처럼 느껴지는 좁고 척박한 땅이다. 그를 처음 만났을 때 나는 그가 입고 있는 방수포 재킷을 한눈에 알아봤다. 소련 시절 내 고향에서는 남자들이 누구나 그런 옷을 입었다. 그는 북극 전문가로 북극에서 평생 일했고 지금도 날씨를 보도하는 일을 돕고 있다.

조용하고 바람 한 점 없는 어느 날, 뱌체슬라프 코롯키가 호도바리하 기상관측소 인근에 있는 바렌츠해의 좁은 만에서 직접 만든 배를 타고 혼자 떠다니고 있다. 그는 외딴 북극 기지에서 거의 평생을 보냈으며 20년 동안 집이라고 부른 이곳을 사랑한다고 말한다.
어느 날 극야 때문에 온갖 상념이 내 머릿속을 헤집어놓는 바람에 나는 기분이 울적해졌다. 나는 차 한 잔을 들고 코롯키에게 가서 어떻게 이렇게 매일매일이 똑같은 곳에서 혼자 살 수 있냐고 물었다. 그는 이렇게 대답했다. “당신은 기대하는 것이 너무 많아요. 그게 정상이겠죠. 그런데 이곳에서는 매일매일이 똑같지 않아요. 오늘 밝게 빛나는 북극광과 바다가 얇은 얼음으로 뒤덮이는 아주 드문 광경도 봤잖아요. 일주일 넘게 구름 뒤에 숨어 있던 별들도 봤죠. 정말 멋지지 않았나요?” 나는 바깥 세상을 관찰하는 것을 잊은 채 내 내면에만 천착한 데 대해 죄책감을 느꼈다. 그때부터 나는 열심히 주변을 살피기 시작했다.
한 달간 나는 러시아의 또 다른 얼어붙은 변방에서 기상 자료를 수집하는 젊은 연인 예브게니아 코스티코바와 이반 시브코프와 함께 지냈다. 이들은 시베리아에 있는 한 도시에서 함께 1년을 보냈는데 그 후 코스티코바가 연인인 시브코프에게 북쪽으로 함께 가자고 했다. 두 사람은 날씨를 관찰하고 장작을 패고 요리를 하고 등대를 지키며 서로를 돌봤다. 병원에 가야 할 일이 생기면 의지할 것은 먼 곳에 있는 헬기뿐이었는데 날씨가 궂을 때는 몇 주간 이륙이 지연되기도 했다.

코스티코바와 시브코프가 반려견 드래곤과 함께 물 시료를 채취한다. 백해와 바렌츠해가 만나는 좁다란 카닌반도 주변에 흐르는 바닷물의 염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다.

“바다코끼리들에 둘러싸이자 오두막이 흔들렸어요. 녀석들이 울부짖는 소리가 어찌나 크던지 밤새 잠을 자기가 어려웠죠. 오두막 밖에 있는 바다코끼리들의 체온 때문에 내부 온도도 급격하게 올라갔어요. 이곳은 태평양바다코끼리의 대규모 번식지인데 온난화로 바다코끼리가 올라가 쉴 수 있는 해빙이 줄어들었어요. 그래서 약 10만 마리나 되는 녀석들이 떼를 지어 해안으로 올라온 것이었죠.” 아르부가에바가 말한다.
딕손에 도착하고 처음 몇 주간 나는 끝없는 어둠 속에서 찍은 사진들을 보고 실망했다. 그런데 갑자기 하늘에 북극광이 나타나면서 몇 시간 동안 온 세상을 네온 빛으로 물들였다. 초록빛으로 물든 군인 기념비는 메리 셸리의 책 말미에서 결국 고립된 땅 북극으로 도망친 프랑켄슈타인의 괴물처럼 보였다. 그 후 북극광이 희미해졌고 마을은 다시 서서히 어둠 속으로 사라지더니 마침내 자취를 감췄다.